최신 글
-
Circular Economy
대한민국 소비자의 순환경제에 대한 인식 및 의향 조사 (스타벅스 기프티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대학원 논문 작성을 위해 순환경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에 가족들과 함께 해주시면 더욱 더 감사하겠습니다. 행복한 한가위 되시고 모두 건강하세요❤️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중 10명을 10월에 추첨하여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많이 참여해주세요❤️ 모든 분들께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제공해 드리고 싶지만 주머니 사정상 그럴 수 없어서 죄송합니다.
-
Sustainability
생리대와 탐폰대신 천 생리대와 생리컵을 사용하여 지구 지키기
대부분의 여성이 매달 생리를 하며 생리대나 탐폰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여성 용품의 환경영향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영국 단체인 프렌즈오브디어스(Friends of the Earth)에 따르면, 생리대는 최대 90%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탐폰에는 플라스틱이 들어가 있다. 일생 동안 월경을 하는 여성은 이 약 181킬로의 플라스틱을 버릴 것으로 예상되며, 플라스틱이 종종 매립지, 하수도 시스템 및 수로로 들어간다. 생리대나 탐폰은 분해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수로를 막고, 바다 생물들을 질식사 시킨다. 플라스틱과 면화를 사용하여 생리대나 탐폰을 만드는 제조 공정은 탄소발자국이 매우 크다. 이 글에서는 여성 용품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안을 탐구한다. 여성은 약 38년의 월경 기..
-
Sustainability
환경을 보호하고 부자되는 제로 웨이스트 살림법 <2편>
몇 년전부터 쓰레기 매립 문제가 부각되며, 더 많은 사람들이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낭비하는 습관에 길들여진 현대인이 제로 웨이스트로 변화하는 길은 험난하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현대인들은 자원을 절약하지 않고 소비하는데 너무 익숙해졌다.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던 정신이 제로 웨이스트와 딱 맞는다. 제로 웨이스트로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천천히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제로 웨이스트로 가는 길은 10단계로 표현했다.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참여하는데 정해진 순서는 없다. 1단계는 내가 얼마나 많은 쓰레기를 만들고 있는지 아는 것이다. 먼저 현재 가정에서 버려지고 있는 쓰레기의 양과 종류에 대해서 조사한다. 가정에 따라 플라스틱..
-
Sustainability
환경을 보호하고 부자되는 제로 웨이스트 살림법 <1편>
1. 냉장고를 정리하기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첫번째 할 행동은 냉장고를 재료의 종류에 맞게 정리하는 것이다. 견과류나 씨앗은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한다. 오메가3 오일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장고에 보관한다. 밀가루는 실온이 아닌 냉장고에 보관한다. 곡물은 깨끗하고 밀봉된 용기에 보관한다. 고기는 냉장고의 하단 서랍에 넣어 다른 음식이 오염되지 않게한다. 우유와 유제품은 유통기한을 자주 확인한다. 계란은 냉장고의 맨 윗칸에 보관하여 잘 보이게 한다. 2. 식료품 소량구매하기 좋은 물건은 소비할 경우에만 좋은 물건이다. 가격이 저렴하며 신선한 제철 농산물과 생선을 이용하고 과도한 낭비없이 좋은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코스트코나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같은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여러개..
-
Innovations
[사피엔스] 설민석 강독: 인간 역사에 대한 위대하고 담대한 질문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를 통해 인류의 조상이었던 사피엔스가 어떻게 지구의 주인이 될 수 있었는지 설명한다. 사피엔스의 1부는 인지혁명에 대한 것이다. 하라리는 기존의 인류의 진화설을 부정하고, 사피엔스가 다른 종족을 집단 학살했다고 주장한다. 사피엔스가 지구의 주인이 될 수 있었던 힘의 정체는 바로 뒷담화이다. 뒷담화는 만나보지도 체험하지도 않은 대상에 대해 상상하게 만든다. 상상을 믿는 유일한 동물이 인간이다. 인간은 존재하지도, 만져지지도, 경험해 보지도 못한 허구를 믿는 본성이 있다. 이것을 인지혁명이라고 한다. 이 인지혁명 때문에 인간은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협력의 힘을 가지게 되었다. 인간은 체계적으로 단결이 가능한 협력의 동물이다. 인간은 개개인으로 봤을 때는 힘이 없지만 뭉쳤을 때 엄청난 시너..
-
Sustainability
미국의 생태학자 개릿 하딘의 공유지의 비극과 코로나 바이러스
미국의 생태학자인 개릿 하딘(Garrett Hardin)의 1968년 논문에서 어떻게 공유 자원이 파괴되는지를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했다. 공유지의 비극이란 개인이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이기적인 방식으로 자원을 사용하여 모든 사람에게 장기적인 재앙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하딘의 아이디어는 많은 비판과 반증을 받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제학자인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은 공유 자원의 지속 가능한 협력 거버넌스에 대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녀의 연구는 공유 자원의 고갈이 때때로 발생하지만 공유지의 비극이 불가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환경 과학에서는 공유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가 이러한 "비극" 발생을 해결하고 인간과 환경 사이에 건전한 상호 작용을..
인기 글
-
Innovations
2020년에 인공지능이 제조업을 향상시키는 방법 : 다양한 제조업체와의 인터뷰
실시간 모니터링은 생산 병목 현상 해결, 불량률 추적, 고객 배송 날짜 충족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머신 러닝은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있는 상황에 맞는 훌륭한 데이터 소스를 제공한다.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여러 생산 교대 근무의 실시간 데이터를 몇 초만에 해석하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프로세스, 제품 및 워크 플로 패턴을 발견 할 수 있다. 다음은 캡제미나이(Capgemini)가 최근에 발표한 제조 운영 분야의 인공지능이 제조능력을 향상시키는 10가지 방법이다. 캡제미나이가 지난 4개월 동안 자동차, 전자, 전기 시스템, 식품 제조업체 등과 인터뷰한 내용이다. 제조에서 인공지능 구현의 29%는 기계 및 생산 자산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캡제미나이의 연구팀은 기계나 장비가 언제 고장 날지 예측하고, 유..
-
Circular Economy
티밀(Teemill)의 순환 티셔츠 제작 플랫폼: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BBC 지구(BBC Earth)의 조사에 따르면, 내가 오늘 구매 한 티셔츠 5개 중 3개는 1년 안에 쓰레기통에 들어갈 것이다. 패션 산업은 대부분 귀중한 자원을 추출하여 폐기하기 전까지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제품이 사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패스트 패션은 이 과정을 가속화시켰다. 슬로우 패션 운동은 모든 사람이 적게 물건을 사면 더 나아질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버리는 옷의 양을 반으로 줄였다해도 여전히 엄청난 양의 폐기물과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피할 수 없다. 현재 예측에 따르면 의류 구매는 2050년까지 3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에 설립된 티밀(Teemill)은 패션 공급망의 각 단계에서 폐기물과 과잉 재고를 최소화하고 재료 재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
-
Circular Economy
Y클로젯(YCloset)의 의류 구독 서비스: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Y클로젯(YCloset)은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알리바바(Alibaba)와 SBCVCY와 같은 기업 및 투자가에게서 5천만 달러 이상 투자를 받았다. Y클로젯은 일부 경쟁사들과 달리 공식적인 복장 대신 일상복을 제공한다. Y클로젯의 가치는 사람들이 일상복을 구매할 필요없이 정기적으로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류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Y클로젯의 주요 고객은 20~35세의 도시에 살고 있는 여성이며, 이들중 대부분은 직장에서 옷을 잘 입어야한다는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의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다. 충성도 높은 고객 기반을 구축하는 열쇠는 배송 편의성과 청소 품질에 대한 신뢰이다. Y클로젯 앱을 통하여 주문하면 하루 안에 배송될 뿐만 아니라, 최고의 ..
-
Sustainability
미국의 생태학자 개릿 하딘의 공유지의 비극과 코로나 바이러스
미국의 생태학자인 개릿 하딘(Garrett Hardin)의 1968년 논문에서 어떻게 공유 자원이 파괴되는지를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했다. 공유지의 비극이란 개인이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이기적인 방식으로 자원을 사용하여 모든 사람에게 장기적인 재앙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하딘의 아이디어는 많은 비판과 반증을 받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제학자인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은 공유 자원의 지속 가능한 협력 거버넌스에 대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녀의 연구는 공유 자원의 고갈이 때때로 발생하지만 공유지의 비극이 불가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환경 과학에서는 공유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가 이러한 "비극" 발생을 해결하고 인간과 환경 사이에 건전한 상호 작용을..
-
Review (Book)
[컴 애즈 유아] 에밀리 나고스키의 성에 대한 긍정적 교과서
스미스 컬리지(Smith College)에서 성을 가르치는 에밀리 나고스키(Emily Nagoski) 교수는 2015년 컴 애즈 유아(Come As You Are)를 출판했고, 책이 유명세를 얻으며 TED 무대에서 성에 대한 수업을 했다. 그녀는 성에 대해서 가르칠 때 과학, 뇌과학, 심리학에서 비롯된 객관적인 지식을 통하여 가르친다. 그녀는 수업 끝에 항상 학생들에게 수업에서 배운 내용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에 대해서 적으라고 한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쓴 말은 "나는 평범하다"나 "다른 여성들과 성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고 해서 나는 비정상적이지 않다."등이다. 이처럼 많은 학생들이 성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과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학생들이 성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고 기쁨을 느끼도록 가르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