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rcular Economy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에코알프(EcoAlf)의 업싸이클링 :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지구 환경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은 어떻게 하면 더 적게 소비할 지 고민하고 있다. 의류를 새로 구입하면 단일 재배 작물 심기에서부터 독성 염료를 강에 쏟아 붓는 것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급망에서 환경 영향이 발생한다. 업사이클링은 의류나 액세서리 또는 기타 품목을 사용하여 새 의류로 재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오래된 스웨터의 올이 풀릴 경우, 원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스웨터로 개조하거나 자동차 시트 폐기물이 핸드백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패션 산업에서 남은 원단으로도 알려진 데드 스탁은 새로운 의류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사이클링은 대표적으로 세 가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 재활용은 재고 또는 사용된 직물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의복 및 제품을 만들어 의류 및 섬유 폐기물을 줄인다. .. 티밀(Teemill)의 순환 티셔츠 제작 플랫폼: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BBC 지구(BBC Earth)의 조사에 따르면, 내가 오늘 구매 한 티셔츠 5개 중 3개는 1년 안에 쓰레기통에 들어갈 것이다. 패션 산업은 대부분 귀중한 자원을 추출하여 폐기하기 전까지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제품이 사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패스트 패션은 이 과정을 가속화시켰다. 슬로우 패션 운동은 모든 사람이 적게 물건을 사면 더 나아질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버리는 옷의 양을 반으로 줄였다해도 여전히 엄청난 양의 폐기물과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피할 수 없다. 현재 예측에 따르면 의류 구매는 2050년까지 3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에 설립된 티밀(Teemill)은 패션 공급망의 각 단계에서 폐기물과 과잉 재고를 최소화하고 재료 재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 Y클로젯(YCloset)의 의류 구독 서비스: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Y클로젯(YCloset)은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알리바바(Alibaba)와 SBCVCY와 같은 기업 및 투자가에게서 5천만 달러 이상 투자를 받았다. Y클로젯은 일부 경쟁사들과 달리 공식적인 복장 대신 일상복을 제공한다. Y클로젯의 가치는 사람들이 일상복을 구매할 필요없이 정기적으로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류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Y클로젯의 주요 고객은 20~35세의 도시에 살고 있는 여성이며, 이들중 대부분은 직장에서 옷을 잘 입어야한다는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의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다. 충성도 높은 고객 기반을 구축하는 열쇠는 배송 편의성과 청소 품질에 대한 신뢰이다. Y클로젯 앱을 통하여 주문하면 하루 안에 배송될 뿐만 아니라, 최고의 .. 중국의 6대 의류 구독 플랫폼: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많은 중국 소비자들이 소매 요법(Retail Therapy)를 항우울제로 사용하며, 패스트 패션을 소비한다. 중국은 패스트 패션으로 인하여, 매년 거대한 양의 패션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화학섬유로 만들어진 패션 폐기물은 땅을 오염시키고, 해양으로 흘러들어가 바다를 오염시킨다. 전 세계 의류의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제조되어 물과 같은 천연 자원이 낭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류 공유 앱은보다 중국 패션산업이 건강하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첫 단계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우버, 이베이,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 플랫폼들이 성공을 이루었고, 소유에 대한 대중의 생각을 변화시키고 있다. 중국 전자 상거래 시장이 번성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류 공유 플랫폼들도 계속해서 성장을 이루고 있다. 1. 미스 파리(..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