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라스틱과 일회용기의 쓰레기 처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다.
- 지난 수십 년간 식품 제조업체들은 편리함을 높이고 운송비를 줄이고자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늘렸고, 소비자들도 마찬가지로 편한 일회용 포장 사용에 익숙해져왔다. 특히 최근 음식 배송이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이에 따른 포장용기 증가에 대한 우려도 함께 떠오르고 있다. UBS 투자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음식 배송 시장규모를 2018년 350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3,650억 달러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에서도 밀레니얼 세대를 비롯한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플라스틱 용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내 폐기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제품 포장으로, 미국 환경 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 따르면 2015년 전체 폐기물의 29.7%는 컨테이너용기와 포장용기로 7,790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따라 일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리, 재사용이 가능한 식품포장, 친환경 플라스틱 등이 조명 받고 있으며,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 전 세계 포장 트렌드는 ‘플라스틱 프리’, ‘친환경’, 그리고 ‘지속가능성’이다.
- 과거에는 기업들이 포장 디자인에만 집중하였으나 현재 전 세계 시장의 포장 트렌드는 ‘플라스틱 프리’, ‘친환경’, ‘지속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최근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은 만큼 기업에서도 경제적 이익 문제를 넘어서 생산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아이디어를 동원하여 해결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 지속가능한 재료를 활용한 플라스틱 대체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식음료 포장에 있어 많은 변화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종이컵을 생산하여 스타벅스와 같은 대형 브랜드와 협력하는 업체가 등장하는 등 업계에서도 생태계 지속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산업계도 제품 생산 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투자를 통해 전 지구적인 트렌드에 동참해야 할 시점이다.
전세계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은 2018년에 2,460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6.23%의 연평균 성장률로 2027년 말까지 4,127억 달러를 기록 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 세계 소비자의 환경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 가능한 포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엄격한 정부 규제는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의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미 지역은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에서 2027년까지 29.87%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의 성장은 예측 기간 동안 사람들의 가처분 소득의 증가에 기인 할 수 있으며, 이는 북미에서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의 성장을 촉진 할 것으로 에상된다. 미국은 북미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주요 시장이다. 미국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은 2018년에 529억 달러에 도달했으며 2027년 말까지 775억 달러에 도달하여 예측 기간에 4.63%의 연평균 성장률로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지속 가능한 패키징 시장 전년도에 비해 2027년에 5.66%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에서 2027년까지 23.73%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의 성장은 예측 기간 동안 인구 증가와 함께 식음료 부문의 증가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의 성장을 촉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주요 시장이다. 2018년 중국 지속 가능 포장 시장은 120억 달러에 도달했으며 2027년 말까지 19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지속 가능한 패키징 시장 전년도에 비해 2027년에 6.92%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은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에서 2027년까지 9.11%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의 성장은 예측 기간 동안 무역 활동이 증가한 데 기인 할 수 있으며, 이 지역의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의 성장을 촉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의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은 2018년 222억 달러에 도달했으며 2027년 말까지 37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 및 아프리카의 지속 가능한 패키징 시장 전년도에 비해 2027년에 7.39%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은 재료 유형을 기준으로 종이 및 판지, 플라스틱, 금속, 유리 및 기타 지속 가능한 포장으로 분류된다. 이 중 종이와 판지로 만든 지속 가능한 포장 (2018년 점유율 24.77%)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지속 가능한 포장 시장을 차지한다. 종이 및 판지 지속 가능한 패키징 부문은 2018년 106억 달러에서 2027년 말까지 60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은 예측 기간 동안 6.72%의 연평균 성장률로 번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이 및 판지 부문의 지속 가능한 포장은 전년도에 비해 2027년에 7.81%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소비자들은 네슬레(Nestle)나 유니레버(Unilever)와 같은 회사의 상품이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상품이 담겨 배송되는 루프(Loop) 서비스를 사용한다. 유럽연합(EU)은 2021년부터 대체재가 있는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그에 따라 알가이아(Algaia)와 같은 포장재 회사는 해초로 만들어진 친환경 포장재를 연구하고 있다. MULTIVAC와 DS Smith는 전통적인 트레이에 비해 플라스틱을 최대 85% 줄이는 신선 식품용 솔루션인 에코볼(ECO Bowl)을 설계하고 생산하기 위해 협력했다. 골판지(Cardboard)로 만들어지는 에코볼은 기존의 트레이보다 가벼우며,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 에코볼은 이미 시장에서 아미도리(amidori)의 상품을 패키징하는 것으로 테스트 되었다. 독일의 식물 기반 육류 대체 제품 생산 업체인 아미도리는 2019년에 에코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1] Research and Markets. (2019, August 29). Sustainable Packaging Market Projected to Reach $412.7 Billion by the End of 2027. Retrieved from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19/08/29/1908648/0/en/Sustainable-Packaging-Market-Projected-to-Reach-412-7-Billion-by-the-End-of-2027.html
[2] KMI. (2020, January 15). 플라스틱 대체제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전 세계 포장 트렌드. Retrieved from https://www.kmi.re.kr/globalnews/posts/view.do?rbsIdx=32&idx=20426
[3] Circular Online. (2020, June 11). New food packaging solution can reduce plastic use by up to 85% versus a “traditional tray”. Retrieved from https://www.circularonline.co.uk/news/new-food-packaging-solution-can-reduce-plastic-use-by-up-to-85-versus-a-traditional-tray/
'Sustaina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기업의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세계 자연 기금(WWF)의 노력 (0) | 2020.06.28 |
---|---|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자동차 산업의 변화: 운송용 및 배송용 전기차 (0) | 2020.06.28 |
기업의 지속 가능한 포장: 5개 FMCG 브랜드의 사례 연구 (0) | 2020.06.28 |
키어니의 지속가능성 설문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 변화 (0) | 2020.06.27 |
크래들 투 크래들의 대표 브랜드 C&A :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