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 포 굿(Fashion for Good)의 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에서 물류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은 수익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하다. 패션 포 굿의 모델은 재고 재판매 물류와 재판매에 따른 새로운 유통 비용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재판매 물류 비용을 가정한다. 물류 비용이 거의 0에 가까워지면 모든 세그먼트, 특히 중고가 의류 브랜드에서 리커머스의 재무적 실행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두 경우 모두 리커머스 마진이 45-50%로 증가하고 중고가 의류 브랜드의 마진이 럭셔리 브랜드 마진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아주 저렴한 초기 물류 비용은 새로운 고객에게 물류 비용이 전가 되고 고객이 매장에서 사용한 의류를 수거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런 방법은 비용을 절약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제품 가치를 손상 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소매업체는 중간 지점인 의류 수거 네트워크를 통해 재고 확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무료 배송을 위한 가격 임계값은 전략적으로 최종 배포 가격에 포함 시킬 수 있다.
패션 리커머스는 의류를 임대 하거나 재판매 또는 의류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소비자는 새 옷을 구입 한 다음 버리거나 기부하는 대신 의류에 접근하고 소유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패션 리커머스 시장은 기존 소매 시장보다 21배 빠르게 확장되었다. 변화를 이끄는 리커머스 기업으로는 렌트 더 런웨이(Rent the Runway), 쓰레드업(threadUP), 포쉬마크(Poshmark) 등이 있다.
2018년 시작된 리게인(reGAIN) 앱은 패션 소비자와 영국 전역의 25,000개 이상의 의류수거 지점을 연결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및 다중 브랜드 회수 프로그램이다. 리게인 앱을 통하여 대규모로 의류를 수집 할 수 있는 동시에 물류 비용 효율성을 높인다.
우리 옷장에는 다시는 절대로 입지 않을 아이템이 많이 있다. 이렇게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 의류가 환경을 오염하도록 쓰레기 봉지에 담아서 버리고 싶은가? 매일 50대의 중고 의류 트럭이 영국 쓰레기 매립장으로 가게 된다. 이럴 경우 매년 18,000대 이상의 트럭 분량의 의류를 매립하며, 이러한 의류 폐기물이 되어 분해 되는데 50년 가까이 소요된다. 리게인 앱을 통하여 의류를 기부하여 재활용할 경우, 의류, 신발, 건강식품, 음식, 여행과 같이 다른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영국 전역의 25,000개가 넘는 의류 수거 지점에서 의류를 기부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지구를 위하여 좋은 일을 하며 쿠폰도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Stevens, B. (2018, April 18). Regain app for recycling unwanted clothing launches in UK. Retrieved from https://www.retailgazette.co.uk/blog/2018/04/regain-app-recycling-unwanted-clothing-launches-uk/
[2] Hufford, J. (2020, April 3). How Recommerce is Changing the Fashion Industry. Retrieved from https://www.nchannel.com/blog/fashion-recommerce-resale/#:~:text=Fashion%20recommerce%2C%20or%20resale%20is,to%20access%20and%20own%20apparel.&text=Poshmark%20%E2%80%93%20Social%20commerce%20marketplace%20to,clothing%2C%20shoes%2C%20and%20accessories.
'Circular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써코스(Circos)의 의류 구독 서비스: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9 |
---|---|
고스트 기어를 아시나요? : 해양을 오염시키는 폐그물과의 싸움 (0) | 2020.06.29 |
에코알프(EcoAlf)의 업싸이클링 :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9 |
티밀(Teemill)의 순환 티셔츠 제작 플랫폼: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9 |
Y클로젯(YCloset)의 의류 구독 서비스: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