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기술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오늘날 기술이 번창한 결과, 기술은 브랜드가 보다 혁신적인 섬유로 지속 가능한 의류를 생산하는 것을 지원한다. 최첨단 기술은 소규모에서 대규모까지 모든 패션 브랜드를 단숨에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제 생산성을 최적화하고 처리 시간을 단축하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혁신적인 2D 및 3D 시각화 소프트웨어가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직물과 섬유와 같은 패션 산업 폐기물을 줄이는 데 획기적으로 도움이 된다.디자이너는 2D 및 3D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통해 직물을 자르거나 봉제하지 않더라도 의류를 완성 할 수 있다. 작업장에서 마네킹에 대고 직물을 디자인하고, 사이즈를 재고, 절단하는 시대는 오래전에 지났다. 최첨단 디자인 기술은 시간, 재료, 시간을 절약할뿐만 아니라 산업 폐기물을 줄여 근본적으로 더 친환경적이다.
패션 산업의 혁신가로 여겨지는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는 지속 가능한 직물와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고급 패션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앞서 언급했던 기술과 다른 고급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 매카트니 여성복 컬렉션의 53%와 남성복 컬렉션의 45%가 지속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매카트니는 재활용 캐시미어 및 자연의 거미 실크를 포함한 다양한 친환경 직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직물의 내구성과 부드러움은 오히려 뛰어나다. 매카트니는 친환경 직물로 옷을 만들기 위해 자연에서 발견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직물을 만드는 회사인 볼트 트레즈(Bolt Threads)와 협력하여 실크 의류를 디자인 했다. 결과에 따르면, 실험실에서 제조한 실크는 클로즈드 루프 공정을 사용하고, 의류의 모든 구성 요소는 수명이 다한 후에 재사용 할 수 있다. 이렇게 친환경적인 공정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의류의 공정은 효모나 설탕과 같은 재료로만 만들어져서 친환경적이라 비건 고객들에게도 매력적이다.
뉴저지에 기반을 둔 바이오 제조회사 모던 메도우(Modern Meadow)는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하여 천연 섬유를 만든다. 이 회사가 특허를 받은 동물 가죽과 같은 느낌의 바이오 가죽은 콜라겐 단백질 또는 실험실에서 자란 많은 세포와 섬유로 제작되었다. 바이오 디자인 및 바이오 엔지니어링은 패션산업을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모던 메도우는 오염이 심한 화학 공정과 매립지에서 분해되지 않는 합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대신에 친환경 재료만을 사용한다. 모던 메도우의 제품은 DNA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 지며, DNA 분자 구조 변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가죽을 생산할 수 있다. 2017년 모던 메도우가 발표한 ZOA는 세계 최초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가죽이다. ZOA 가죽은 기존 가죽보다는 두께가 얇지만, 강도, 내구성, 소재의 느낌은 실제 동물 가죽과 거의 비슷하다.
나이키(Nike)의 플라이니트 루나 1+은 나이키의 유사한 디자인보다 조립에 35개 더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폐기물을 크게 줄였다. 아디다스(Adidas)는 폐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섬유로 만든 새로운 스니커 라인을 출시했다. 평균 런닝화가 20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있어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통은 사용 후 매립될 것이며 재활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친환경 브랜드로 잘 알려진 푸마(Puma)는 생분해성 재료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를 사용한다. 디자인 회사인 퓨즈프로젝트(Fuseproject)는 최소한의 환경 발자국을 남기는 패키징 기술을 만들기 위해 푸마와 힘을 합쳤다. 그 결과 생산 과정에서 골판지 사용이 65% 감소한 재활용 가능한 신발 상자가 탄생했다. 이 상자는 반으로 접을 수있어 공간을 덜 차지하여 운송 비용, 휘발유 사용,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어 1백만 리터 이상의 물과 총 8천 5백톤의 종이를 절약했다.
참고문헌
[1] Taitler, R. (n.d.). Cleaning up the Fashion Supply Chain: Technology Rises to the Challenge. Retrieved from https://3dinsider.optitex.com/fashion-supply-chain-technology-rises-challenge/
[2] Leonards, A. (2019, June 14). How tech can transform the fashion supply chain. Retrieved from https://www.raconteur.net/retail/fashion-supply-chain-tech
'Sustaina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어니의 지속가능성 설문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 변화 (0) | 2020.06.27 |
---|---|
크래들 투 크래들의 대표 브랜드 C&A : 패션산업 순환경제 사례연구 (0) | 2020.06.27 |
패션 순환 공급망에 대한 이해와 리세일 스타트업 쓰레드업의 성장 (0) | 2020.06.27 |
전 세계 지속가능성 책임자 44명의 지속 가능성 접근방식: 동화 접근법, 동원 접근법, 전환 접근법 (0) | 2020.06.27 |
유럽 최대 포장재 업체인 스머핏 카파의 지속가능 포장재 설문조사 결과발표 (0) | 2020.06.27 |